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 명심스토리44

명심보감 [제13일] 내가 남에게 잘해야 남도 나에게 잘한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행복을 물고 온 하늘새입니다 2022年 1月 10日 月曜日 명심보감 [13일] 내가 남에게 잘해야 남도 나에게 잘한다. 전합니다. 장자왈(壯子曰) 어아선자(於我善者)도 아역선지(我亦善之)하고, 어아악자(於我惡者)도 아역선지(我亦善之)니라. 아기어인(我旣於人)에 무악(無惡)이면 인능어아(人能於我)에 무악재(無惡哉)인저. 해석(解釋) 장자(壯子)가 말하였다. "나에게 선(善)하게 하는 자에게 나 역시 선하게 하고, 나에게 악(惡)하게 하는 자에게도 나는 역시 선하게 대해야 한다. 내가 이미 남에게 악한 일을 하지 않으면 그 사람도 나에게 악하게 함이 없을 것이다." 해설(解說) 나에게 잘해 주는 사람은 물론, 나를 좋지 않게 대하는 사람에게도 잘 대해 주어야 한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 2022. 1. 10.
명심보감 [제12일] 연약한 자가 강자를 이긴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행복을 물고 온 하늘새입니다 2022年 1月 07 金曜日 명심보감 [12일] 연약한 자가 강자를 이긴다. 전합니다. 노자왈(老子曰) 유승강(柔勝剛)하고 약승강(弱勝剛)이라. 고(故)로 설능존(舌能存)하고 치강즉절야(齒剛則折也)이니라. 해석(解釋) 노자(老子)가 말 하였다. "부드러운 것이 강한 것을 이기고,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그렇기 때문에 혀는 오래도록 남아 있지만 이빨은 강하여 부러지게 된다." 해설(解說) 성품이 부드러운 사람이 얼핏 보기에는 약해 보이지만 굳센 사람을 결국에는 이기고 만다. 너무 강한 것은 부러지기가 쉽지만 연한 것은 이리저리 굽혀져 보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마치 이빨이 강해서 부러지지만 혀는 그런 일이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주석(註釋) ㅇ 유승.. 2022. 1. 7.
명심보감 [제11일] 한 번의 악행이 평생을 그르친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행복을 물고 온 하늘새입니다 2022年 1月 05日 水曜日 명심보감 [11일] 한 번의 악행이 평생을 그르친다. 전합니다. 마원왈(馬援曰) 종신행선(終身行善)이라도 선유부족(善猶不足)이요. 일일행악(一日行惡)이라도 악자유여(惡自有餘)니라. 해석(解釋) 마원(馬援)이 말하였다. "평생동안 선(善)을 행하더라도 선은 오히려 부족하고, 하루 동안 악(惡)을 행하더라도 악은 저절로 남아 있게 된다." 해설(解說) 중국 전국시대 때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위(魏)의 임금을 만나 구변(苟變)이란 장수를 천거하였다. "구변의 재능은 군사 5백 승(乘)을 거느릴 만하니, 대장으로 임용해야 합니다." 그러자, 위나라 임금은 고개를 저으며 안될 이유를 말하였다. "과인도 그가 장수 재목인 줄은 알고.. 2022. 1. 5.
명심보감 [제10일] 나쁜 말에는 벙어리가 되어라. 안녕하세요 행복을 물고 온 하늘새입니다 2022年 1月 04日 火曜日 명심보감 [10일] 나쁜 말에는 벙어리가 되어라. 전합니다. 태공왈(太公曰) 견선여갈(見善如渴)하고 문악여롱(聞惡如聾)하라. 우왈(又曰) 선사(善事)는 수탐(須貪)하고 악사(惡事)는 막락(莫樂)하라. 해석(解釋) 태공(太公曰)이 말하기를, "선한 일 보기를 목마르듯이 하고, 악한 일 듣기를 귀머거리처럼 하라." 하고 또 말하였다. "선한 일은 모름지기 탐을 내고, 악한 일은 좋아하지 말라." 해설(解說) 착한 일을 보거든 목이 마를 때 물을 보듯이 서둘러서 하고, 악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 못 들은 척해야 한다. 좋은 일은 탐내야 하지만 나쁜 일은 탐내서는 안 된다. 주석(註釋) ㅇ 견선여갈(見善如渴) : 선한 일 보기를 목마르듯이 하고.. 2022. 1. 4.
명심보감 [제9일] 선행(善行)은 이름을 얻기 위함이 아니다. 안자왈(顔子왈) 선이자익(善以自益)하고 악이자손(惡以自損)이라 고(故)로 군자(君子)는 무기익(務其益)하여 이방손(以防損)하고 비이구명(非以求名)이요 차이원욕(且以遠辱)이니라. 해석(解釋) 안자(顔子)가 말하였다. "선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악은 자신에게 손해가 된다."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도움이 되기에 힘쓰고 손해를 방지하되 이름 얻기를 구하지 않고 욕(辱)을 멀리할 뿐이다." 해설(解說) 선은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만 악은 자신에게 손해가 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익이 되는 선을 힘써 손해를 막는다. 이는 이름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고 욕을 멀리하려는 것이다. 주석(註釋) ㅇ 안자(顔子, B.C. 521 ~ 490) : 공자(孔子)의 제자인 안연(顔淵). 이름은 회(回)이며 연(淵)은 자(子) .. 2022. 1. 3.
명심보감 [제8일] 악행(惡行)을 멀리하라. 진국어운(晉國語云) 종선여등(從善如登)하고 종악여붕(從惡如崩)하라. 해석(解釋) 진국어(晉國語)에 말하였다. "선을 따르는 것은 산을 오르는 것처럼 하고, 악을 따르는 것은 산이 무너지는 것처럼 하라." 해설(解說) 선을 따르는 것은 마치 높은 곳에 오르는 것처럼 힘써서 하고, 악을 따르는 것은 마치 산이 무너지듯 위태롭게 여겨야 한다. 주석(註釋) ㅇ 진국어(晉國語) : 중국 고대 춘추전국(春秋戰國) 시대의 역사서인 국어(國語) 중 진(晉) 나라의 기록인 진어(晉語)를 가리킨다. ㅇ 적선(積善) : 좋은 일을 쌓음. ㅇ 종선여등(從善如登) : 선(善)은 산을 오르듯 힘들어 해야 함. ㅇ 종악여붕(從惡如崩) : 악(惡)을 따름은 산이 무너지듯 위태롭게 여김 감사합니다 오늘도 적선(積善)하세요 ^^/ 2022. 1.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