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법등3 명심보감 [제4일] 선악(善惡)에는 응보가 있다 선유선보(善有善報)하고 악유악보(惡有惡報)하니 약환불보(若還不報)면 시신미더(時晨未到)니라. 해석(解釋) 선한 일에는 선한 보답이 있고, 악한 일에는 악한 보답이 있게 마련이니, 만약 이런 보답이 없다면 시간이 제때에 이르지 않을 것이다. 해설(解說) 선한 일에는 좋은 응보(應報)가 있게 마련이고, 악행에는 좋지 못한 응보가 있게 마련이다. 조선 중종(中宗) 때 사람 심정(沈貞)은 남곤(南袞) 등과 기묘사화(己卯士禍)를 일으켜 조광조(趙光祖) 등 많은 사람을 죽인 장본인이다. 심정에게는 심의라는 동생이 있었다. 형이 훌륭한 선비들을 해치려 한다는 말을 듣고 하루 아침에는 형의 집으로 갔다. 형과 함께 마루에 앉아 있는데 쥐 한 마리가 마당을 가로질러 오더니 쥐구멍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 보였다. 심의는 형.. 2021. 12. 28. 명심보감 [제3일] 적선(積善)해야 좋은 일이 있다. 서신옹왈(徐神翁曰) 적선봉선(積善逢善)하고 적악봉악(積惡逢惡)하나니 자세사량(仔細思量)하면 천지불착(天地不錯)이니라. 해석(解釋) 서신옹(徐神翁)이 말하였다. "선한 일을 쌓아가면 선한 일을 만나게 되고, 악한 일을 쌓아가면 악한 일을 만나게 된다. 자세히 생각해 보면 천지(天地)처럼 어긋나지 않을 것이다." 해설(解說) 선을 쌓으면 좋은 일을 당하게 되고, 악을 쌓으면 나쁜 일을 당하게 된다. 이런 이치를 자세히 생각해 보면 하늘과 땅의 운행처럼 조금도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 주석(註釋) ㅇ 서신옹(徐神翁) : 미상(未詳). ㅇ 적선(積善) : 좋은 일을 쌓음. ㅇ 적악(積惡) : 악한 일을 쌓음. ㅇ 사량(思量) : 생각함. ㅇ 불착(不錯) : 어긋나지 않음. 감사합니다 오늘도 적선(積善)하세요 ^^/ 2021. 12. 27. 명심보감 [제2일] 악인에게는 재앙이 따른다 상서운(尙書云) 작선(作善)이면 강지백상(降之百祥)하고, 작불선(作不善)이면 강지백앙(降之百殃)이니라. 해석(解釋) 상사에 말하였다. "선한 일을 하면 백 가지 상서(祥瑞)가 내리고, 선하지 못한 일을 하면 백 가지 재앙(災殃)을 내린다." 해설(解說) 좋은 일을 하면 하늘이 갖가지 상서로운 일을 내려 주시고, 선하지 못한 일을 하면 하늘이 갖가지 재앙을 내린다. 주석(註釋) ㅇ 상서(祥瑞) : 중국 고대의 역사를 기술한 책. 일명 서경(書經)이라 하는데 금문서와 고문상서가 주가지가 있다. ㅇ 백상(百祥) : 갖 가지 상서로운 일. ㅇ 백앙(百殃) : 갖 가지 재앙 감사합니다 오늘도 선행하세요^^ 2021. 12. 2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